내진설계
-
공작물 축조신고 - STACK (굴뚝) 공작물의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 확인서, 내풍설계 확인서프로젝트/구조안전확인 2023. 2. 14. 11:11
오늘은 "울산"에 위치한 발전소내의 강구조물 건물 과 STACK - 굴뚝 의 구조검토 및 구조안전을 확인한 용역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먼저 이번 용역은 산업용 발전소의 보일러 구조물에 대한 구조안전 확인과 STACK 구조물의 구조안전 확인 두 가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보일러 구조물의 경우에는 내진설계의 성격상으로는 건물외 구조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구조 안전 확인시 내진설계 확인이 필요하며, STACK의 경우 공작물에 해당하기 때문에 내풍설계확인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아래 공작물은 축조신고 대상으로 신고시에는 건축구조기술사가 날인한 내풍설계확인서가 필요합니다. 경우에 따라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확인서가 추가로 필요할 경우도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담당 시군구청 건축과에 문의하시는 것이..
-
마산 OO 초등학교 내진보강 설계프로젝트/내진보강설계 2023. 2. 14. 10:50
오늘은 지난 4-5월에 수행하였던 마산 합포구 진동면에 위치한 OO 초등학교 내진보강 설계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교육부의 “학교시설 내진성능평가 및 보강매뉴얼” 에서 제시하는 내진보강방법에는 다양한 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학교시설을 보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근 콘크리트조인 학교의 경우에는 1. 전단벽 신설 또는 보강 2. 기둥날개벽 3. 철골 프레임 부착 / 끼움 골조 (가새골조) 4. 부축벽 5. 강판끼움벽 6. PC 벽체 등과 같은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보강설계가 가능합니다. 보강 방법에 따라 보강부위의 강도/강성, 공사비, 공사기간, 미관등이 결정되므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보강설계를 실시할지, 어떤 구획에서 보강을 실시할지는 구조기..
-
공작물 축조신고 - 공작물의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 확인서, 내풍설계 확인서프로젝트/구조안전확인 2023. 2. 14. 10:24
건축법 시행령 83조와 시행령 118조, 시행규칙 41조에 따라 높이가 8미터 이상인 고가수조 및 탱크류인 공작물의 경우 축조 신고시에 내풍설계 확인서가 필요합니다. 또한 본 내풍설계확인서는 건축구조기술사가 확인하고 작성 및 날인하여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구조안전 및 내진설계확인서가 추가로 필요할 경우도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담당 시군구청 건축과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공작물 축조 신고 - 대상 1. 높이 6미터를 넘는 굴뚝 2. 높이 6미터를 넘는 장식탑, 기념탑,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3. 높이 4미터를 넘는 광고탑, 광고판,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4. 높이 8미터를 넘는 고가수조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5. 높이 2미터를 넘는 옹벽 또는 담장 6. 바닥면적 30제..
-
경남 Y 초등학교 본관동 내진보강 구조설계 용역프로젝트/구조설계 2023. 2. 14. 10:01
경주, 포항 지진 이후, 이제 우리나라도 더 이상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이 아니라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각 지자체에서는 보유 건축물에 대해 지진에 대한 피해경감을 위한 내진설계를 도입 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중고 학교 시설물의 경우에는 대체로 건립연도가 오래되어 지진 발생시 안전성에 취약 할 수 있고, 많은 청소년들이 한 공간에 밀집되어 있는 특성과, 유사시 대피소로도 활용되어야 한다 는 측면에서 구조안전성과 내진설계가 더욱 요구된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따라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서는 행안부가 기존 공공시설물 내진보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각 기관별로 소관 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향상하는 내진보강대책을 매년 수립·추진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교육부에서는 1,2단계 계획에 따라 내진보강대책을 마련하여 수행하였..